[금융정보 A to Z] '여유로운 서른' 맞이하기 시리즈 ② 20대가 꼭! 알아야할 금융사기와 피해 예방법
내 자산을 잘 굴리고 불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금융 사기에 낚여 한순간에 날리면 그게 다 무슨 소용이겠어요? 점점 교~묘해지는 금융 사기도 똑! 부러지게 피해갑시다. 오늘은 다양한 금융사기 유형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 준비했어요. 금융사기란 전화, 메신저, 인터넷 등을 이용해 불특정 다수를 속이거나 착각하게 만들어 재산상의 이익을 취하는 행위로 '전기통신금융사기'라고 합니다. 이를 통상 '금융사기'라고 해요. 대표적인 유형으로 보이스피싱, 파밍, 스미싱, 메신저피싱 등이 있답니다.
1. 보이스피싱(Voice Phishing)
보이스피싱은 목소리 + 개인정보 + 낚시를 합성한 말로, 전화로 속임수나 거짓말을 해 돈을 가로채거나, 개인정보를 빼내어 재산을 탈취하는 대표적인 금융사기 수법입니다.
※ 특징
① 검찰, 경찰, 금융감독원 등 사람들이 신뢰하는 정부기관이나 금융회사 등을 사칭하고, 사칭하는 기관의 전화번호 등으로 발신번호를 조작합니다.
② 전화 가로채기 앱 또는 원격조종 앱 등 악성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피해자가 정부기관, 금융회사 등에 확인하는 전화를 가로채는 수법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③ 여러 명의 사기범들이 유창한 한국어를 구사하며 계좌모집, 환전·송금, 인출 등 각자 조직적으로 역할을 맡아 피해자를 공략하기도 합니다.
④ 개인정보 유출, 범죄사건 연루, 자녀납치 등 거짓으로 위급한 상황을 이야기하면서 전화를 끊지 못하게 합니다.
※ 주요 유형
① 공공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수사기관이나 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해, 개인정보 유출이나 각종 범죄에 연루되었다며 압박한 후 피해자의 재산을 사기이용 계좌로 이체하도록 유도합니다.
② 대출빙자형 보이스피싱: 저금리로 대환대출이 가능하다고 속이고 기존 대출에 대한 상환자금이나 수수료 등을 사기이용계좌로 송금하도록 유도합니다.
③ 납치/사고빙자형 보이스피싱: 자녀 등이 납치되었거나 사고를 당했다고 속이며 돈을 요구합니다.
※ 금융감독원의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10계명!>
① 전화로 정부기관이라며 자금이체를 요구하면 일단 보이스피싱 의심하세요.
② 전화·문자로 대출 권유 받는 경우 무대응 또는 금융회사 여부를 확인하세요.
③ 대출 처리비용 등을 이유로 선입금 요구시 보이스피싱을 의심하세요.
④ 고금리 대출을 먼저 받아 상환하면 신용등급이 올라 저금리 대출이 가능하다는 말은 보이스피싱입니다.
⑤ 납치·협박 전화를 받는 경우 먼저 전화를 끊고 자녀에게 전화해, 자녀 안전부터 확인하세요.
⑥ 채용을 이유로 계좌 비밀번호 등을 요구하는 경우는 보이스피싱입니다.
⑦ 가족을 사칭해 금전을 요구한다면, 먼저 가족에게 전화해 본인인지 확인하세요.
⑧ 출처 불명 파일·이메일·문자는 클릭하지 말고 삭제하세요.
⑨ 금융감독원 팝업창이 뜨고 금융거래정보 입력 요구시 100% 보이스피싱입니다.
⑩ 보이스피싱 피해발생시 즉시 신고한 후 피해금 환급을 신청해 추가 피해를 방지하세요.
2. 파밍(Pharming)
이용자의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악성코드에 감염시켜서 금융회사 등의 정상 홈페이지로 접속해도 가짜 홈페이지로 연결되도록 한 후 금융거래정보(계좌 비밀번호,보안카드 일련번호 등)을 편취하는 수법입니다.
※ 특징
① 인터넷 ‘즐겨찾기’ 또는 포털사이트 검색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금융회사 홈페이지에 접속해도 가짜 홈페이지로 이동하게 되는 등, 보이스피싱에 비해 사기여부를 사전에 인지하기가 어렵습니다.
② 가짜 홈페이지는 정상 홈페이지와 매우 유사하며, 보안카드의 일부 앞뒤 번호만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피해예방 요령
①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 문자, 파일은 클릭하지 않습니다.
② 보안카드보다 안전한 OTP(일회성비밀번호생성기)를 사용합니다.
③ 악성코드 탐지 및 제거 등 보안점검을 주기적으로 합니다.
3. 스미싱(Smishing)
스미싱은 SMS(문자메시지)와 Phishing(피싱)의 합성어로, 악성 앱 주소가 포함된 SMS를 대량으로 발송한 후 피해자가 악성 앱을 설치하거나 전화를 하도록 유도하여 개인정보 및 재산을 탈취하는 금융사기 수법입니다.
※ 특징
① 택배 배송 안내, 돌잔치 초대장, 청첩장 등 쉽게 읽어볼 수 있는 형태로 발송됩니다.
② 공공기관을 사칭하거나 사회적 이슈가 되는 내용을 발송하여 링크를 클릭하도록 유도하기도 합니다.
※ 피해예방 요령
① 문자메시지 상의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를 클릭하지 않습니다.
② 알 수 없는 출처의 앱이 함부로 설치되지 않도록 스마트폰의 보안설정을 강화합니다.
③ 앱을 다운로드 받을 경우 공인된 애플리케이션마켓을 이용합니다.
④ 소액결제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통신사 콜센터 등을 통해 소액결제서비스를 차단합니다.
4. 메신저피싱
가족 또는 친구 등을 사칭하며 메신저를 통해 급전 명목으로 송금을 요청해 가로채는 금융사기 수법입니다. 주로 소액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며, 피해자들이 크게 의심하지 않고 송금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 피해예방 요령
① 가족이나 친구가 급전 등이 필요하다고 메신저로 연락하면, 직접 전화통화를 해서 본인임을 확인합니다.
② 상대방이 통화를 회피하는 경우 직접 신분을 확인할 때까지는 금전 요구에 응하지 않습니다.
정기적으로 메신저 비밀번호를 변경하여 해킹 및 개인정보 유출을 예방합니다.
◈ 금융사기는 다양한 형태로 계속 진화하고 있으므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항상 관심을 기울이고 주의해야 합니다.
◈ 금융감독원 ‘보이스피싱 지킴이’(http://phishing-keeper.fss.or.kr)에서 최신 피해사례 및 공지사항을 확인해보세요.
※ 참고: 금융교육센터_대학생이 꼭 알아야 할 금융이야기 http://www.fss.or.kr/edu